1990년 출판된 책이다. 내 출생년도 전후로 있었던 배우들의 이야기를 모아놓은 책이다. 
중고서점에 갔다가, 내가 지금 하려는 이야기들이 붕뜨지않게 하려면, 사례집을 읽어보는 것도 좋겠다 싶어서 냉큼 집어온 책이다.

책의 가치가 그 책의 가격으로 결정되는 건 아닐텐데, 싸게 샀노라며 냉큼 접어가며 읽었다.

이런 낡은 책들을 읽으면, 그 내용보다, 시간을 먼저 인식한다.
그 때의 이대부고는 머리를 길러도 되는 자유분방한 학교였고, 
그 때의 이대 사학과를 졸업한 선배는 이 책을 냈고,
그 때의 산울림소극장에서 최초로 고도를 기다리며가 공연되었단다.

그냥, 인터뷰를 모아놓은 작고 낡은 책인데도, 참 여러가지 군상이 보여서 좋았다.


---

검색을 하다 우연히 '구히서'는 오역이 그냥 필명으로 굳은 거고 작자의 본명은 구희서씨라고 한다.
그는 "순수한 것을 보면 기분 좋다. 나쁜 연극을 봐도 좋다"고 했다. 강단 비평 쪽에서는 생각하기 힘든 말이다. 연극이란 장르의 순수성에 대해 말했다. 그의 마음에 와 닿은 무대는 "난폭, 섹스 없이 깊은 감정을 미묘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그는 "영상, 짓거리가 과한 것은 싫다"며 "내 시대의 미적 기준이 좋다"고 했다."(한국일보 2010년 인터뷰 발췌)

---





자료로 그냥 써먹고 말기엔 아쉬운 책이다. 

좋은 이야기가 많은데도, 다 옛날 인물과 지나간 이야기들이라 묻혀버리는 게 아쉽다.






---------------






불편한 이야기, 작부심, 그런 것들과
불편하지 않은 이야기, 독자가 보고 싶은 이야기, 철저한 로맨스나 적당하게 슬프고 적당하게 아름다운 이야기들,
그 균형을 대충 알 것 같다.

일상에서 모두가 서로에게 감추고 있는 어떤 영역이 있다.
가령, 남들 앞에서 똥을 싸진 않는다.
그래서 소설에서 굳이 그 이야기를 매번 언급하지 않아도 괜찮은거라고 생각한다.
우린 주인공이 사랑하는 남자의 이름은 알 필요가 있지만 주인공의 소화상태 배변상태를 알 필요는 없다.
중요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굳이 불편해질 필요는 없는 거다.

일상적으로 남들 앞에서 가식을 떠는 만큼만,
글과 영상에서도 가식을 떨면서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면 괜찮겠다는 생각을 해봤다.





가식은 나쁜거라고, 또 한동안의 너무 솔직한 무리들에 휩싸여 있다보니 마냥 그렇게 생각해봤는데,,
좀 멀찍이 떨어져서 보니까, 아니, 가식은 좋은거다.

매우, 많이, 아주, 엄청, 지구를 돌릴만큼 좋은거다. 

+ Recent posts